ISO9001

인증개요
  • ISO9001의 개요

ISO9001은 ISO(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제정한 품질경영시스템에 대한 국제규격을 말하는 것으로, 이 규격의 목적은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에서의 조직의 품질경영시스템 요구사항을 표준화하여 국제적인 통상의 편리함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이 규격은 1987년 제정되어, 현재 2015년도 규격 인증이 시행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수십만개의 조직이 인증을 취득, 유지하여 실행하고 있습니다.. 이 규격의 적용 분야는 제조, 건설, 서비스뿐만 아니라, 학교 및 지방 자치 단체와 같은 공공 서비스 분야에 이르기까지 모든 산업 분야에 걸쳐 모든 규모의 조직에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인증 취득 방법은 조직은 품질경영시스템 구축 후 제 3자(ICR과 같은 인증기관)로부터 객관적인 심사를 거쳐 인증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 ISO 9001 제정 배경 및 경위 (참조: ICIN 한국인정지원센터)

제2차 세계대전 후 미군의 조달부서는 군수품의 불량을 줄이기 위하여 제품에 대한 기술적 조달 요구사양에 덧붙여 제품의 생산시스템에 대한 관리요구사항을 미군규격(MIL Q 9858)으로 제정하고 이 규격을 근거로 한 공급자에 대한 품질경영시스템 심사가 미군의 조달제도에 추가되면서 구방품질관리제도를 실시하였다. 이후 NATO(A.Q.A.P) 규격을 거쳐 군수품, 항공, 원자력 등의 산업으로 적용 영역이 확대되어 갔다. 그 후 품질시스템에 대한 각 국가별 요구사항이 서로 다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무역상의 기술장벽을 제거하고 상호인정을 촉진하기 위해 국제적으로 인정될 수 있는 공통된 품질경영시스템 규격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ISO에서는 1987년 미국의 국가규격(ANSI/ASQC Z 1.15)과 영국의 국가규격(BS 5750) 및 캐나다의 CSA Z 299를 근거로 하여 ISO 9000 시리즈 규격을 개발하게 되었다. 이 규격은 영국의 BS 5750을 기본으로 하여 유럽과 미국의 개념과 습관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다. 따라서 계약주의, 매뉴얼작성, 검증중시, 시스템지향 등의 특징을 갖는다. 1994년에 ISO 9001:1987규격에 대한 소폭의 개정작업이 이루어졌다. 다만 이 개정은 제품의 품질이라는 종래의 개념으로부터 탈피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제품’의 개념이 제조업자가 만드는 제조품이라고 생각되었기 때문에 제조업 중심의 규격이라는 한정된 범위였다. 2000년에는 제품의 정의를 서비스업 등에도 적합할 수 있도록 넓은 의미로 확대하여 개정되었다. 또한 TQM(종합적 품질관리) 가운데 PDCA사이클(Plan, Do, Check, Act) 요소를 도입하여 조직 활동의 축으로 삼았다. 2000년 개정판에서는 종래의 품질시스템이 ‘품질경영시스템’으로 바뀌었고 경영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2000년 판에서는 제목에서 ‘품질경영시스템-요구사항’으로 크게 변화하였다. 조직(기업 등)이 고객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요구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고, 제품과 서비스에 반영하여 출력해야 한다. 이 입력을 출력으로 변환하는 것을 ‘프로세스’라고 한다. 끊임없이 변화하는 고객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프로세스를 지속적으로 개선해나가는 것을 품질경영시스템이라고 말한다. 품질경영시스템 요구사항인 ISO 9001:2000규격은 어떠한 업종, 조직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범용적인 표현으로 기술되어 있다. 이 규격은 1987년 제정되어, 현재 2015년도 규격 인증이 시행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수십만개의 조직이 인증을 취득, 유지하여 실행하고 있습니다.. 이 규격의 적용 분야는 제조, 건설, 서비스뿐만 아니라, 학교 및 지방 자치 단체와 같은 공공 서비스 분야에 이르기까지 모든 산업 분야에 걸쳐 모든 규모의 조직에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 ISO 9001 모델 특징 – 프로세스 접근방식의 품질경영시스템

고객 요구사항을 충족함으로써 고개만족을 증진시키기 위해, 품질경영시스템의 효율성 개선, 개발, 실행에 있어 ISO9001:2015는 프로세스 접근의 도입을 채택하도록 추천한다. 프로세스 접근이 도입은 하나의 시스템으로서 연관된 프로세스들의 이해와 관리, 조직이 의도한 결과를 달성하는데 있어 조직의 효율성과 유효성에 기여한다. 이 접근은 조직이 시스템에 있는 프로세스상에 상호관계의 연관성과 상호의존관계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조직의 전반적인 수행능력을 향상시킨다. 프로세스 접근은 시스템적 정의, 프로세스의 관리 그리고 그들의 상호작용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는 품질방침과 조직의 전략적 방향에 준하여 의도한 결과를 달성할 수 있게 한다.

ISO9001(PDCA)

  • ISO9001:2015 요구사항
4.조직의 상황 / Context of the organization
4.1 조직과 조직의 상황 이해/ Understanding the organization and its context
4.2 이해관계자의 요구와 기대의 이해/ Understanding the needs and expectations of interested parties
4.3 품질경영시스템의 적용범위 결정/ Determining the scope of the quality management system
4.4 품질경영시스템과 프로세스/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its processes
5.리더십 / Leadership
5.1 리더십과 의지/ Leadership and commitment
5.2 방침/ Policy
5.3 조직의 역할, 책임 및 권한/ Organizational roles, responsibilities and authorities
6.기획 / Planning
6.1 리스크와 기회를 다루기 위한 조치/ Actions to address risks and opportunities
6.2 품질목표와 목표달성을 위한 기획/ Quality objectives and planning to achieve them
6.3 변경에 대한 기획/ Planning of changes
7.지원 / Support
7.1 자원/ Resource
7.2 적격성/ Competence
7.3 인식/ Awareness
7.4 의사소통/ Communication
7.5 문서화된 정보/ Documented information
8.운영 / Operation
8.1 운영기획 및 관리/ Operational planning and control
8.2 제품 및 서비스의 요구사항/ Requirements for products and services
8.3 제품 및 서비스의 설계 및 개발/ Design and development of products and services
8.4 외부에서 제공받은 프로세스, 제품 및 서비스 관리/ Control of externally provided processes, products and services
8.5 생산 및 서비스 제공/ Production and service provision
8.6 제품 및 서비스 출고/ Release of products and services
8.7 부적합 출력물의 관리/ Control of nonconforming outputs
9.성과평가 / Performance evaluation
9.1 모니터링, 측정, 분석 및 평가/ Monitoring, measurement, analysis and evaluation
9.2 내부심사/ Internal audit
9.3 경영검토/ Management review
10.개선 / Improvement
10.1 일반사항/ General
10.2 부적합과 시정조치/ Nonconformity and corrective action
10.3 지속적 개선/ Continual improvement
인증절차
  • ISO 인증절차

인증혜택

  • 인증효과

☆ 기업에 대한 고객의 신뢰성 확보 및 이미지 제고

☆ 경영시스템 구축으로 품질향상, 생산성 증대, 원가절감 효과 기대

☆ 정부, 공공기관의 지원 혜택

☆ 표준화를 통한 업무 분장으로 책임과 권한 설정

☆ 각종 인증 평가시 우대

☆ 신용보증기금의 신용평가 시 가산점 부여

☆ 국제시장에 진출 용이

☆ 고객의 품질감사 절차의 간소화

☆ PL(제조물책임)법 시행에 대한 대응